문자열은 따옴표에 가둬진 내용
문자열은 String 이라고도 부르며,
큰따옴표/작은따옴표 관계없이 따옴표 속에 들어 있는 내용은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같은 모양의 따옴표로 시작해서, 같은 모양의 따옴표로 끝나야 합니다.
문자열(String): 같은모양 따옴표로 묶인 문자의 모음
문자열의 예
- 'a', 'b', 'c'
- 'ABC'
- '대한민국'
- "광복절815"
- "Spider-man Home-coming"
- "날아올라 날아올라 날아올라 날아올라 이제는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갈 거야"
같은 모양의 따옴표로 묶어주기만 하면 문자열은 구성됩니다.
파이썬으로 테스트를 해볼께요
배치파일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2022.02.26 - [분류 전체보기] - [파이썬] 쥬피터 노트북 실행파일 만들기 (jupyter Notebook.bat)
변수에 문자열을 넣어보겠습니다.
변수명 = "문자열내용"
너무 쉽죠?
따옴표로 묶으면 따옴표는 뭘로 보여줌?
그럼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각각 어떻게 보여줄까요?
큰따옴표를 보여주고 싶을 때는 작은따옴표로 묶어주고
작은따옴표를 보여주고 싶을 때는 큰따옴표로 묶어주면 됩니다.
문자열도 위치정보가 있다.
우리가 기차를 이용할 때는 어느 칸 - 좌석번호를 통해 내 자리를 알 수 있습니다.
문자열도 각각 글씨마다 자리정보가 있습니다.
이 자리 정보를 파이썬에서는 "인덱스"라고 부릅니다.
파이썬(프로그래밍)에서는 첫번째 자리를 1번이 아니라 0번으로 시작합니다.
이게 정말 처음에 잘 안고쳐지더라구요. 습관적으로 처음은 1로 생각하니까요 ㅠ
인덱스는 '1' 이 아니라 '0으로 시작한다!
인덱스 연습하기
- 문자열변수[2] → 2번째 글자1개를 보여줍니다.
- 문자열변수[1:5] → 1번째 ~ 4번째(5번째 직전)까지 글자를 보여줍니다. (정말 많이 틀립니다. 주의!)
- 문자열변수[2: ] → 2번째 ~ 끝까지 글자를 보여줍니다.
- 문자열변수[ :10] → 처음부터 ~ 9번째(10번째 직전)까지 글자를 보여줍니다.
파이썬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중간중간 점프해서 문자열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문자열[ a : b : 2] = a번째 ~ (b-1)번째까지, 다음순서는 +2번째로
문자열[a:b:2] → a, a+2, a+4, a+6, a+8, ...... b-1의 순서로 문자를 추출
파이썬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음수를 이용하면 반대방향으로도 가능합니다.
- 문자열변수[-1] → 마지막 글자1개를 보여줍니다.
- 문자열변수[-9:-1] → 뒤에서9번째 ~ 뒤에서2번째(마지막 글자 직전)까지 글자를 보여줍니다. (주의!)
- 문자열변수[-1:] → 마지막 글자 ~ 끝까지? (역순으로 보여줍니다)
파이썬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문자열도 곱셈이 된다고?! 아니 덧셈도 됨!
문자열 * 숫자 = 문자열을 숫자만큼 반복
문자열A + 문자열B = 두 문자열 내용합
문자열에 곱하기를 하면 여러번 반복해서 입력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바로 파이썬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또 서로 다른 문자열을 합칠 수도 있습니다.
단, 나누기와 빼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ㅠ
정리
- 문자열은 따옴표로 묶여있는 글자의 모음입니다.
- 묶음의 시작과 끝 따옴표는 항상 같은 모양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작은 따옴표는 큰 따옴표 묶음 속에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큰 따옴표는 반대)
- 문자열의 내용은 인덱스를 이용해 일부 or 전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 문자열은 곱셈(반복효과), 덧셈(연결효과) 연산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IT > 파이썬(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을 지지고 볶는 함수(문자열 메소드) (0) | 2022.03.17 |
---|---|
[파이썬] 쥬피터 노트북 실행경로 내맘대로하기 (0) | 2022.03.15 |
[파이썬] 반올림 함수 만들어 쓰기 (0) | 2022.03.13 |
[파이썬] 쥬피터 노트북을 설치해보자 (Jupyter Notebook) (0) | 2022.03.12 |
[파이썬] 프로그램 첫 발자국 (0) | 2022.03.11 |